✅ 1. 청년내일저축계좌란?
- 대상: 만 19~34세 청년 중 중위소득 100% 이하
- 지원 내용: 월 10~30만원 저축 시 정부가 동일 금액을 매칭 (3년 후 최대 1,440만원)
- 목적: 취업 초기 청년의 자산 형성 지원
👉 상담사 시점:
단순 지원금이 아닌 저축 습관 형성과 장기 재정 계획에 도움을 주는 정책입니다. 취업 상담을 하면서, “취업 후 돈을 모을 수 있을까?” 고민하는 청년들에게 가장 먼저 추천하는 제도이기도 합니다.
✅ 2. 지원 자격
- 만 19~34세 청년
- 가구 중위소득 100% 이하
- 근로·사업 소득 월 50만원 이상~200만원 이하
👉 상담사 팁:
취업 준비 중이라도 아르바이트나 단기 계약직 소득이 일정 수준 있으면 신청 가능합니다. 많은 청년이 “취업을 해야 신청할 수 있다”라고 오해하는데, 소득만 있으면 가능하니 놓치지 마세요.
✅ 3. 신청 방법
- 복지로(bokjiro.go.kr) 온라인 신청
- 읍·면·동 주민센터 방문 접수
- 소득 확인 후 가입 승인
👉 상담사 팁:
신청 초기에는 접속 폭주로 사이트가 느려질 수 있습니다. 첫 주 오후 3시 이후 시간대가 비교적 빠르니 참고하세요.
✅ 4. 정부 지원금 매칭 구조
- 본인 저축 10만원 → 정부 10만원 매칭 (월 20만원 적립)
- 본인 저축 30만원 → 정부 30만원 매칭 (월 60만원 적립)
- 3년 유지 시 최대 1,440만원 + 이자 수익
👉 상담사 팁:
중도 해지 시 정부 지원금을 못 받는 경우가 많습니다. 3년 유지 계획을 세운 뒤 가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.
✅ 5. 취업과 연계하는 방법
- 국민취업지원제도와 병행 가능
- 취업 성공 후 월 소득이 늘어도 중간 검증 통과 시 계속 유지 가능
- 청년일자리도약장려금 대상자도 가입 가능
👉 상담사 사례:
한 청년은 국민취업지원제도를 통해 취업에 성공하고, 동시에 청년내일저축계좌에 가입했습니다. 3년 후에는 취업 안정과 자산 형성을 동시에 달성했습니다. 취업 초기에 시작하면 가장 효과적입니다.
✅ 6. 2025년 변경 사항
- 소득 기준 완화 → 더 많은 청년이 가입 가능
- 비대면 서류 제출 확대 → 온라인 처리 시간 단축
- 저축액 유연화 → 10/20/30만원 선택 가능
✅ 정리:
청년내일저축계좌는 단순한 금융 상품이 아니라, 청년의 미래를 준비하는 첫 걸음입니다. 취업을 준비하거나 갓 취업한 청년이라면 반드시 확인하고 가입을 고려해야 합니다.